TG (Triglyceride) : 트리글리세라이드
1. 검사명 : TG(Triglyceride)
2. 검사의의 : 고지혈증의 진단 및 치료 경과 관찰
3. 검사원리 : 효소 비색법 (Enzymatic Colorimetric test)
4. 검체 준비
1) 검 체 : 혈철, 혈장(Li-heparin 혈장 및 K2-EDTA 혈장)
2) 채취 용기 : Gel tube
3) 원심 방법 : 2500 ∼ 3000 rpm, 15 ∼ 20분
5. 검체의 적정도
1) 검체의 양 : 0.5 ml 이상
2) 보관 방법 : + 4℃ 에서 3일 정도 안정하며, 냉장이나 냉동 보관이 좋다.(-20℃에서 4달 안정)
고지혈증에서는 chylomicron이 상층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측정에 앞서서 검체를 잘 혼합한다.
3) 방해물질
황달: 포합 빌리루빈(conjugated bilirubin)에 대해 I index 10까지, 비포합 빌리루빈(unconjugated bilirubin)에 대해 I index 35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습니다.(포합 빌리루빈 농도: 약 171 μmol/L 또는 10 mg/dL) 및 비포합 빌리루빈 농도: 약 599 μmol/L 또는 35 mg/dL))
용혈: H index 70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습니다(헤모글로빈 농도: 약 434 μmol/L 또는 700 mg/dL)).
지방혈증: L index는 검체 탁도와는 연관성이 있으나,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와 연관성은 없습니다. 매우 높은 지방혈증 검체(트리글리세리드 농도 3000 mg/dL 이상)에서 정상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Ascorbic acid 및 calcium dobesilate는 비정상적으로 낮은 트리글리세리드 결과를 야기합니다. 본 분석에서 분석물질로 Intralipid는 직접 측정되며, 높은 트리글리세리드 결과를 야기합니다.
6. 참고 범위
정상 범위: < 1.70 mmol/L ( < 150 mg/dL)
유럽 동맥경화 협회(European Atherosclerosis Society)의 권고에 따른 임상적 의미(Clinical interpretation)
mmol/L | mg/dL | Lipid metabolism disorder | |
Cholesterol Triglycerides |
< 5.18 < 2.26 |
< 200 < 200 |
No |
Cholesterol | 5.18-7.77 | 200-300 | Yes if HDL-cholesterol < 0.9 mmol/L (< 35 mg/dL) |
Cholesterol Triglycerides |
> 7.77 > 2.26 |
> 300 > 200 |
Yes |
※유리 글리세롤(Free glycerol)값을 고려할 경우, 측정된 triglycerides 값에서 0.11mmol/L(10 mg/dL)를 빼야한다.
7. 결과 해석
1) 증가하는 경우 :
Artherosclerosis
DM : glucose가 energy원으로 이용되지 못하므로 지방조직에서 유리지방산이 동원되고, 이어 keton체의 생성항진과 α-glycerophosphate의 증가로 인하여 triglyceride합성이 항진된다.
Nephrosis : LPL 활성 감소로 인한 말초조직에서의 triglyceride clearance의 장애로 인한 증가를 원인으로 해석하고 있다.
Pancreatitis : LPL 활성 억제인자의 출현 및 LPL로 가수분해되지 않는 비 정상 혈청 lipoprotein의 출현으로 고지혈증이 발생된다.
Overweight, familial hyperlipidemia, xanthoma 등
2) 감소하는 경우 :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간질환 : VLDL 합성 감소로 인한 혈청 triglyceride 농도의 감소
8. 기타
* Triglyceride는 glycerol과 지방산과의 ester형으로 energy원으로 중요하다.
대부분 음식물로 섭취되어 장관에서 흡수되는데 이를 외인성 중성지방(chylomicron)이라 하며,
이 chylomicron의 80%이상을 구성하는 물질이다.
간장과 피하조직에 저장되며, 당이 에너지원으로 부족될 때는 lipoprotein lipase에 의해monoglycerol, glycerol, free fatty acid등으로 가수분해되어 혈중에 방출되고 나머지는 다시 간장에서 저장된다.
* 혈중 TG는 식이의 영향을 받기 쉬워서 식후 2-6시간에 최고 농도를 보이고 9-12시간에 정상으로 돌아오므로 식후 10시간 후에 채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정확한 고지혈증의 분류를 위해서는 혈청 지단백분획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고지혈증(hyperlipidemia)의 분류(Fredrickson)
고 지혈증 | 빈 도 | 발병시기 | 혈장내 주요 증가성분 | |
지단백 | 지질 | |||
Type I | very rare | Childhood | chylomicrons | TG |
Type IIa | commom | Adolescence | LDL | CHO |
Type IIb | common | Adolescence | LDL and VLDL | CHO and TG |
Type III | uncommon | Adulthood | chylomicron remnants and IDL | TG and CHO |
Type IV | very common | Adulthood | VLDL | TG |
Type V | rare | Adulthood | VLDL and chylomicrons |
TG and CHO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