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RPR 매독 검사의 의의, 결과 해석

by Detail 2022. 3. 29.
반응형

RPR

 

1. 검사명 : 매독의 혈청학적 검사 (RPR)

 

2. 검사원리

RPR (항지질 항체 측정용)

지질항원(cardiolipin, lecithin)을 감작시킨 polystyrene latex와 검체를 일정한 조건 하에 반응시켜 검체중 매독의 항지질 항체와 latex의 응집괴를 형성시킨다. 이 응집괴 형성에 의한 탁도 상승을 반응 전후의 탁도차(탁도 변화량)로서 측정하여 검체중 매독의 항지질 항체의 항체가를 구한다.

 

3. 검체수집 및 준비

1) 검체 : 혈청

2) 부적합 검체

① 상태 : 심한 용혈이나 지혈증이 있는 검체인 경우

② 지체기간 : 채취된 검체는 가능한 한 즉시 검사실로 보낸다.

3) 검체는 채취 후 가능한 한 신선한 것을 사용한다.

 

4. 결과판독 및 보고방법

1) 측정 결과

이 kit에 의한 측정치가 1 R.U.(주1) 이상을 보이는 것을 양성으로 판정한다.

☞ R.U.(RPR Unit)는 WHO 기준(매독성 인 혈청에 대한 국제 기준, 1958년 제정)에 근거하여 설정되었고 1 R.U. = 0.4IU. 1 R.U. 는 1배의 RPR 카드 테스트 역가에 해당한다.

2) 항체양성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재검하고, 그 밖에 다른 검사결과와 임상적 증상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정한다.

3) 매독 진단은 기타 관련 검사나 임상증상 등의 종합적 소견에 따라 최종적으로 의사가 진단하고, 검사 결과만으로 판단해서는 안된다.

4) 항체 생성초기와 면역기능저하에 의해 항체생성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항체량이 적어서 음성으로 판정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여 한다.

5) 자가면역질환환자의 경우에는 비특이반응이 일어나므로 측정결과에 기인한 판단은 다른 검사와 임상상태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6) 면역 globulin 함유 혈액제제를 투여 받은 환자 혈청은 양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판정에 주의한다.

7) 면역 반응에서는 일반적으로 prozone 현상이 고려되므로 유의한다.

 

5. 참고치

1 R.U. 이상을 보이는 것을 양성으로 판정

* 측정 가능 범위 : 0.2 ~ 8.0 R.U.

 

6. 결과해석 및 임상적 의의

1) 혈청검사는 직접검사와 같은 확진검사가 아니라 확률에 의한 추정검사이다.

2) 비트레포노마검사의 혈청학적 역가는 주로 매독의 활성도와 관련이 있으며, 치료에 대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재감염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3) 매독검사의 특수상황

위음성 매독 혈청검사

- ‘Window period’ : 후천매독에서 감염 직후 2~4주간 트레포네마 검사 음성기간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이후 IgM과 IgG가 충분히 형성되면 양성으로 바뀐다.

- 후기매독에서 RPR/VDRL 음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cardiolipin항체가 점점 감소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이로써 비트레포네마검사의 민감도는 60~75%정도로 감소한다.

- HIV 감염인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한 면역억제 환자에서 매독 혈청검사 위음성을 보일 수 있다.

위양성 매독 혈청검사

자가면역질환, HIV감염, 임신, 마약중독자 등에서 흔히 나타난다.

③ Serofast state:

성공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비트레포네마검사 역가가 측정되는 경우이며, 대부분 1:8 이하의 역가로 평생 지속될 수도 있다.

 

7. 정도관리

1) 내부정도관리

① 정성검사는 매 검사 시행시마다 상품화된 양성(Reactive), 음성 (Non-reactive)Control을 사용하고, Control의 반응 결과를 Control Check sheet에 기록하고, 만약 Control의 검사 결과가 상이하게 나온다면 검사를 다시 시행하여야 한다.

② Control은 유효기간이 지나면 폐기한다.

2) 외부정도관리

CAP (년 3회), 국내정도관리 (년 2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