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 (Inorganic Phosphorus : IP) 무기인 검사의 의의, 결과 해석

by Detail 2022. 2. 20.
반응형

Inorganic Phosphorus (IP)

 

1. 검사명 : Inorganic Phosphorus (IP)

 

2. 검사의의 : 혈중 무기인 농도는 혈중 칼슘농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골잘환 이외에도 갑상선기능 등에 의해 혈중농도가 좌우 되어진다.

 

3. 검사원리 : Molybdate UV

무기인(inorganic phosphate)은 황산(sulfuric acid)에 의해 ammonium molybdate와 반응 하여 ammonium phosphomolybdate 복합체((NH4)3[PO4(MoO3)12])를 형성한다.

 

형성된 phosphomolybdate 농도는 inorganic phosphate 농도와 정비례하며, 광도계로 측정한다.

 

4. 검체 준비

1) 검 체 : 혈청, 헤파린 및 EDTA 혈장

2) 채취용기 : Gel tube

3) 원심방법 : 2500 - 3000 rpm, 15 -20분

 

5. 검체의 적정도

1) 검체의 양 : 0.3 ml이상

2) 용혈된 검체는 부적합 -- RBC에는 다량의 organic phosphate esters를 포함하며 이는 가수분해

되어 inorganic phosphrous로 된다.

3) 보관 방법 : 냉장 보관 (1주 안정), 냉동 보관 (2 - 3 개월 안정)

혈청 및 혈장: 15-25℃ 보관 시 24시간, 2-8℃ 보관 시 4일, -25~-15℃ 보관 시 1 년 동안 안정합니다.

산성화된 소변: 2-8℃ 보관 시 6개월 동안 안정합니다.

24시간 소변: 수집하는 동안 차가운 곳에 보관하십시오.

4) 방해물질

(1) 황달:

① 포합 빌리루빈(conjugated bilirubin)은 I index 4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었습니다.

(포합 빌리루빈농도: 약 684 μmol/L(40 mg/dL))

② 비포합 빌리루빈(unconjugated bilirubin)은 I index 6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었습니다.(비포합 빌리루빈 농도: 약 1026 μmol/L(60 mg/dL))

(2) 용혈: H index > 300에서 유의한 양성 간섭이 있습니다.(헤모글로빈 농도: 약 186 μmol/L(300 mg/dL))

※ 이 간섭은 phosphatase와 organic phosphate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inorganic phosphate로 인한 것인데, 용혈 시 적혈구로부터 2가지 phosphates가 방출됩니다.

(3) 지방혈증(Intralipid): L index 80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었습니다. L index(탁도에 해당)와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 간의 연관성은 낮습니다.

(4) 약물: 일반 약물 패널을 사용할 때 치료 농도에서 간섭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5) 예외: 리포솜 약물 제제(예, AmBisome)에 함유되어 있는 인지질은 pH 산성작용으로 인해 검사 시 가수분해 될 수 있어 phosphate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6) 매우 드물게 감마글로불린병증(gammopathy)은 특정 형태의 IgM(발덴스트롬 거대 글로불린혈증(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에서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6. 참고 범위 :

혈청/혈장

성인(Adults)

0.81–1.45 mmol/L (2.5–4.5 mg/dL)

소아(Children)

Age Male
mmol/L (mg/dL)
Female
mmol/L (mg/dL)
1-30 d 1.25-2.25 (3.9-6.9) 1.40-2.50 (4.3-7.7)
1-12 m 1.15-2.15 (3.5-6.6) 1.20-2.10 (3.7-6.5)
1-3 y 1.00-1.95 (3.1-6.0) 1.10-1.95 (3.4-6.0)
4-6 y 1.05-1.80 (3.3-5.6) 1.05-1.80 (3.2-5.5)
7-9 y 0.95-1.75 (3.0-5.4) 1.00-1.80 (3.1-5.5)
10-12 y 1.05-1.85 (3.2-5.7) 1.05-1.70 (3.3-5.3)
13-15 y 0.95-1.65 (2.9-5.1) 0.90-1.55 (2.8-4.8)
16-18 y 0.85-1.60 (2.7-4.9) 0.80-1.55 (2.5-4.8)

소변

1st morning urine 13–44 mmol/L (40–136 mg/dL)

24–hour urine 13–42 mmol/d (0.4–1.3 g/d)

 

7. 결과 해석

1) 증가하는 경우

PTH결핍, 감수성저하, vitamin D 과잉, 성장호르몬 과잉, 골 흡수항진,

요중 배설감소 등으로 생긴다.

Hyperphosphatemia -- 어른에게 있어서 5mg/dl을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된다.

(1)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나 세뇨관의 재흡수 증가로 인한 renal phosphorus

excrection의 감소

(2) 인의 함량이 많은 음식물의 섭취 및 소화 흡수증가

(3) 세포외액으로의 이행 증가

(redistribution 및 increased release of intracellular phosphorus)

2) 감소하는 경우

PTH과잉, vitamin D 결핍, 세뇨관 재흡수 장애, 소장에서 흡수장애, 세포내 이행

Hypophosphatemia -- Moderate hypophosphatemia : 1.0-2.5mg/dl 사이의 농도로 정의되며

입원 환자의 약 2%를 차지한다.

Severe hypophosphatemia : 1.0mg/dl이하의 농도로 정의되며, 치료를 요하는 징후나 증상이

나타난다. 장기 입원환자의 0.1 - 0.25%에서 나타난다.

 

8. 기타

* 세제에는 대부분 phosphate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glassware 세척을 철저히 한다.

(특히 재생 sample cup사용시 주의 )

* 일내 변동이 있어서 일정한시각에 채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야간에 높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