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크레아티닌 (Creatinine), eGFR(Ccr) 신장기능 검사 의의, 결과 해석

by Detail 2022. 2. 19.
반응형

Creatinine (크레아티닌)

 

1. 검사명 : Creatinine

 

2. 검사의의 :

BUN과 더불어 신장기능의 지표로서 중요한 검사이다. Creatinine은 통상 생성량이 일정하며 신장으로의 배설과정이 비교적 단순한 반면 BUN은 신장 이외의 다른 인자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신장기능의 지표로서의 특이성은 Creatinine이 높다.

 

3. 검사 원리 : 비색시험법(kinetic colorimetric assay)

본 검사법은 Jaffé법에 근거한 비색시험법입니다. 염기성 용액에서 크레아티닌은 피크레이트(picrate)와 황색 복합체(yellow-orange complex)를 형성합니다. 발색반응속도는 검체내의 크레아티닌 농도에 비례합니다. 빌리루빈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rate-blanking"을 사용합니다. 단백질과 케톤을 포함해서 혈청/혈장 검체의 pseudo-creatinine chromogens에 의한 비특이 반응을 보정(to correct)하기 위해, 혈청 또는 혈장 검체의 결과 값에서 26 μmol/L (0.3 mg/dL)를 뺍니다.

4. 검체 준비

1) 검 체 : 혈청, 헤파린 및 EDTA 혈장

2) 채취용기 : GEL tube

3) 원심방법 : 2500 - 3000 rpm , 15 - 20분

 

5. 검체의 적정도

1) 검체의 양 : 0.3 ml 이상

2) 보관 방법 : 혈청/혈장 검체는 15-25℃ 보관 시 7일, 2-8℃ 보관 시 7일, (-25)~(-15)℃ 보관 시 3개월 동안 안정하다.

소변 검체(보존제 무첨가)는 15-25℃ 보관 시 2일, 2-8℃ 보관 시 6일, (-25)~(-15)℃ 보관 시 6개월 동안 안정하다. 소변 검체(보존제 첨가)는 15-25℃ 보관 시 3일, 2-8℃ 보관 시 8일, (-25)~(-15)℃ 보관 시 3주 동안 안정하다.

 

3) 방해물질

①황달: I index 가 포합 빌리루빈(conjugated bilirubin)에서는 5, 비포합 빌리루빈(unconjugated bilirubin)에서는 1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습니다(포합 빌리루빈 농도: 약 86 μmol/L 또는 5 mg/dL) 및 비포합 빌리루빈 농도: 약 171 μmol/L 또는 10 mg/dL).

② 황달(SCRE2): I index 가 포합 빌리루빈에서는 2, 비포합 빌리루빈에서는 3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습니다(포합 빌리루빈 농도: 약 34 μmol/L 또는 2 mg/dL 및 비포합 빌리루빈 농도: 약 51 μmol/L 또는 3 mg/dL).

③ 용혈: H index 100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습니다(헤모글로빈 농도: 약 621 μmol/L 또는1000 mg/dL)).

④ 지방혈증(Intralipid): L index 80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습니다. L index(탁도에 해당함)와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 간의 연관성은 낮습니다.

⑤ 약물: 일반적인 약물 패널을 사용할 때 치료 농도에서 간섭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예외: 세팔로스포린을 함유하는 항생제는 유의한 잘못된 양성결과를 일으킵니다.

예외 : Cefoxitin은 인위적으로 높은 크레아티닌 결과를 야기합니다.

예외 : Cyanokit (Hydroxocobalamin)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6. 참고 범위 :

혈청/혈장  
Adults  
Females 44-80 μmol/L (0.50-0.90 mg/dL)
Males 62-106 μmol/L(0.70-1.20 mg/dL)
Children  
Neonates (premature) 25-91 μmol/L(0.29-1.04 mg/dL)
Neonates (full term) 21-75 μmol/L(0.24-0.85 mg/dL)
2 - 12 m 15-37 μmol/L(0.17-0.42 mg/dL)
1 - < 3 y 21-36 μmol/L(0.24-0.41 mg/dL)
3 - < 5 y 27-42 μmol/L(0.31-0.47 mg/dL)
5 - < 7 y 28-52 μmol/L(0.32-0.59 mg/dL)
7 - < 9 y 35-53 μmol/L(0.40-0.60 mg/dL)
9 - < 11 y 34-65 μmol/L(0.39-0.73 mg/dL)
11 - < 13 y 46-70 μmol/L(0.53-0.79 mg/dL)
13 - < 15 y 46-70 μmol/L(0.53-0.79 mg/dL)
소변  
1st morning urine  
Females 2470-19200 μmol/L(28-217 mg/dL)
Males 3450-22900 μmol/L(39-259 mg/dL)
24-hour urin  
Females 7000-14000 μmol/24 h(740-1570 mg/24 h)
Males 9000-21000 μmol/24 h(1040-2350 mg/24 h)

7. 결과 해석

1) 증가하는 경우 : 급.만성 신장염, 요로폐쇄 등

2) 감소하는 경우 : 근육 질환 및 근육 위축

 

8. 기타

① Creatinine clearance

- Creatinine의 일일 배설량은 거의 일정하므로 24시간 creatinine clearance를 측정함으로써 사구체 여과율(eGFR)을 추정할 수 있다.

 

eGFR(Ccr) = (Ucr*TV*1.73)/[Scr*{0.425*log(weight)+0.725*log(height)-2.144}]

 

1.73 : 표준 체표면적

SCr : Serum creatinine

TV : Total volume/24hr

UCr : Urine creatinine

 

- 참고 범위 :

Male : 97 - 137 ml /min

Female : 88 -128 ml /min

② Creatinine은 신사구체에서 배설되고 (일부는 세뇨관으로 배설된다) 세뇨관에서 재흡수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혈중 creatinine 농도는 신장의 배설기능에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신혈류량 감소, 신사구체 여과치(GFR)가 감소할 경우에 증가된다. 또한 BUN과는 달리 식이성 단백의 과잉섭취, 위 장관내의 출혈 증 신외성 인자의 영향도 작기 때문에 신장기능 장애의 지표로는 BUN보다 특이성이 크다. 그러나 혈중 creatinine은 울혈성 심부전, 말단 거대증에서도 증가를 보이고 기타 간장애, 근 dystrophy, 요붕증에서는 감소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