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nti-HBc Ig M, B형 간염검사의 의의, 결과 해석

by Detail 2022. 4. 28.
반응형

Anti-HBc Ig M

 

1. 검사명 : Anti-HBc Ig M

 

2. 검사원리 : 전기화학발광면역분석법(ECLIA, Electrochemiluminescence immunoassay)이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μ-Capture test principle

1) 1차 incubation: 특정 IgG를 block하는 anti-Fdy로 (Elecsys Diluent Universal로 1:400으로 자동 희석된) 샘플을 전처리 한다.

2) 2차 incubation: biotinylated h-IgM 특이적 항체와 ruthenium이 표지된 HBcAg, streptavidin으로 코팅된 미세입자를 넣어주면 전처리한 샘플에 존재하는 anti-HBc IgM 항체는 ruthenium labeled HBc 항원과 biotinylated된 anti-h-IgM과 샌드위치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복합체는 biotin-streptavidin 결합을 통해 solid phase로 결합된 화합물이 형성된다.

3) solid phase의 화합물은 measuring cell에 흡입된 후 미세입자의 자성에 의해 measuring cell 내 전극 표면에 붙는다. 전극에 붙지 못한 검체 및 시약 일부는 제거된다. 전극에 전압을 걸어주면 화학적 발광이 일어나고 이를 photomultiplier가 측정한다.

 

3. 임상적의의 : 급성 B형 간염의 진단시에 사용되며,HBsAg이 출현후 2주부터 나타나 3-6

개월 후에 사라진다. 이 Core M 분석은 hepatitis B viral 감염의 급성이나

최근 (보통 6개월 이내) 감염의 진단 보조 검사로 사용된다.

 

4. 검체

plain tube 에 2ml 이상(너무 양이 적은 경우는 detection이 되지 않는다)

 

5. 결과 해석: Negative 와 Positive 로 해석한다.

1.0 COI 이상은 reactive 즉 positive로 간주한다.

COI 값이 1.0미만은 non-reactive 즉, negative로 간주한다.

 

6. 참고사항

1) 검체의 황달(빌리루빈<25mg/dl), 용혈(Hb<2.0g/dl), 지질혈증(인트라리피드<1500mg/dl),

일반약제19종, RF(<4200 U/ml)은 검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비오틴 농도 100ng/ml까지는 검사에 영향이 없으나, 하루 5mg 이상 투여환자는 투여 8시간 후

채혈한다.

3) 검체를 희석해야 하거나, 자동으로 예비희석시는 Elecsys Diluent Universal을 사용한다

4) 간혹 극도로 높은 역가의 streptavidin 항체 또는 ruthenium 항체로 인해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