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ST, GOT (Aspartate aminotransferase) 간기능 검사 의의, 결과 해석

by Detail 2022. 2. 17.
반응형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GOT)

 

1. 검사명 :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GOT)

 

2. 검사의의 : 각종 간질환

 

3. 검사 원리 : 흡광 분석법(Absorbance assay)

이 분석은 IFCC의 권고를 따랐으며 성능과 안정성을 위한 검사에 최적화되었다. 검체에서 AST는 oxaloacetate 및 L-glutamate를 형성하기 위해 L-aspatate와 2-oxoglutarate 사이의 아미노군(amino group) 이동을 촉진시킨다. oxaloacetate는 MDH(malate dehydrogenase)를 통해 NAD+를 형성시키기 위해 NADH와 반응한다.

 NADH의 산화율은 AST 촉매작용과 정비례하며, 감소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한다.

 

4. 검체 준비

① 표준 채취용 튜브에 취한 혈청. 헤파린 또는 EDTA처리 혈장.

② 채취 후 실온에선 8시간내에, 2-8°C 에서는  48시간 내에 혈전이나 세포를 분리한다.

③ 안정성: 검체는 15~25℃ 보관 시 24시간, 2~8℃ 보관 시 7일 동안 안정하다.

검사 전 침전이 있는 검체는 원심 분리한다.

 

5. 검체의 적정도

 

1) 검체의 양 : 0.3 ml 이상

2) 보관 방법 : 냉장 보관시 3일

3일 이후 activity의 감소비율, AST; at 4  ,8%, at 20∼25  ,10%

3) 방해물질

황달: I index 6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다. (포합 및 비포합 빌리루빈(conjugated and unconjugated bilirubin) 농도: 약 1026 μmol/L (60 mg/dL))

용혈: H index 4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다. (헤모글로빈 농도: 약 25.6 μmol/L (40 mg/dL))

고지방혈증: L index 150까지 유의한 간섭은 없다. L index(탁도에 해당)와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 간의 연관성은 낮다.

지방혈증: 검체(lipemic sample)는 '> Abs'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diluted sample treatment' 를 선택하여 자동적으로 재시험 기능을 실시한다.

 

6. 참고 범위

남성 : < 40 U/L

여성 : < 32 U/L

 

7. 결과 해석

 

1) 증가하는 경우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증, 지방간, 간종양, 폐쇄성황달, 심근경색(AST는 확연히 증가하나 ALT는 정상내지 약간 증가함), 골격근 질환(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dermatomyositis, 다발성근염 - AST는 50-250U/L정도 증가하나 ALT는 보통 정상), hemolytic disease

 

8. 기타

 

* AST, ALT는 혈중효소로 측정되고 있는 Release enzyme중 대표적인 효소이며, 세포의 손상이 가벼운 경우 세포막이 파괴되지 않고 효소가 세포 밖으로 유출된다. 이과정은 세포내의 energy공급이 감소된 결과로서 세포내의 K+이온이 세포외로 유출되고 Na+, Ca++ 및 수분이 세포내로 유입된다. 그 결과 세포는 팽창되고 세포막이 늘어나게 되어 세포질에 존재하는 AST, ALT가 유출된다.

 

* 세포 밖으로 빠져 나간 AST, ALT는 순환혈중으로 빠르게 유출된다.

실제로 혈청 AST, ALT 활성 측정이 간 손상시에 예민하게 측정되는 것은 간에 다량의  AST, ALT가 분포되어 있고 손상받은 간 세포로부터 Disse강 내로 빠져나가 직접 혈류로 용이하게 확산 되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